교육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영상]윤건영 충북교육감, '25년 충북교육정책 방향 제시
‘격차는 줄이고 모두의 성장으로’
기사입력  2025/01/06 [12:41]   임창용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은 6일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갖고, “2025년 충북교육 정책의 목표는 격차를 줄이고, 모두의 성장을 이루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윤 교육감은 기자회견에서 “학생들이 공정한 기회를 누리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공교육의 과제”라며, “학습과 발달, 돌봄 등의 격차를 줄이고 상생을 통해 학생,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이루는 모두의 성장을 이끌겠다.”라고 강조했다.

 

먼저, 기초 수리력 지원 강화로 학습 격차해소에 나선다고 밝혔다.

 

초3~고3 약 6천명을 대상으로 AI 채움수학 개인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지원하고, 학생 개개인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AI 기반 수학서비스를 도입해 학생․지역 간 수학 격차를 줄일 계획이다.

 

충북교육청이 학교급별 맞춤형 수학 학습 집중 프로그램으로 독자개발한 필즈수학프로젝트(초등), 아이 안의 거장 찾기(중2), 최석정 서로키움 프로젝트(중․고)를 지원한다.

 

수학클리닉 전문교사 인증제와 상담교실을 확대하고 체험과 탐구 중심의 수학채움학교를 50교로 확대 운영한다.

 

아울러, 개념기반 수학 수업 설계, 에듀테크 활용 맞춤형 평가 피드백 연수 등을 신설해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학생이 체감하는 수업 변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또한, 읽기 장애 등이 있는 학생을 조기발굴해 치료를 지원하기 위해 난독증과 경계선 기능 전수조사를 선제적으로 시작함을 밝혔다.

 

읽기와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적절한 학습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1학년 2학기에 난독증, 3학년에 경계선 지능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조사는 초등학교 재학 중 전수 조사를 실시하는 것은 전국 교육청 중 가장 빠르게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독증과 경계선 지능 초기진단 전문교사 100명을 양성하고, 문제가 확인된 학생에게는 심층진단을 거쳐 맞춤형 치료(치료비 1인당 120만원)와 충북학습종합클리닉센터의 학습 코칭을 지원한다.

 

아울러, 돌봄 격차 해소를 위해 늘봄서비스 확대에도 나선다고 말했다.

 

76억3천만 원을 투자해 올해 청주와 충주, 제천에 ‘(가칭)충북 나우늘봄 미래거점센터’ 건립을 본격 추진해, 놀이와 휴식, 수업과 자기주도적 학습 등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심지역 돌봄 격차 해소를 위해 2027년까지 청주 옛 복대초, 옛 상당초에 거점형 늘봄 공간을 만들 방침이다.

 

더불어, 더 나은 특수교육 환경조성을 위해 45개 특수학급을 신․증설하는 계획도 마련하였으며, 학생들의 방학과 전환기를 적극 지원해 대입 및 취업 준비를 위한 맞춤형 집중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모든 학생이 성장할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IB 프로그램 운영학교를 18곳으로 확대하고, 초중고 IB 학교가 밀집된 동청주와 서충주, 제천 등을 중심으로 ‘IB 교육 지역 클러스터’를 추진한다. 

 

이들 지역에서 IB 학교 간 협력을 강화하면서 IB 수업을 일반 학교로 확산해 학교와 지역의 성장을 함께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학생 성장에 필요한 정신건강을 돕기 위해 ‘학생 마음건강 119’를 신설해 언제 어디서나 학생들의 이야기를 듣고 24시간 이내에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각급 학교에서 명상과 필사(筆寫)를 통한 ‘마음쓰기’운동의 추진도 준비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에 따라 학생들이 인공지능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바르게 이해하고 책임감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도록 ‘충북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난해 처음 개최한 충북교육박람회를 확대해 충북교육의 성과와 성장을 공유하는 행사와 축제들을 교육박람회와 연결하며, 실천으로 나아가는 기후위기 대응 학교환경교육을 강화해 체계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모든 학교에서 충북형 학교 환경교육이 잘 정착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어, 윤건영 교육감은 AI 디지털교과서가 교육자료로 채택된 것과 앞으로 AI교과서 추진계획에 대한 질의에, "지난 국정감사에서 준비과정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있었다"면서, "AI의 역기능까지 검토하고 추진하되 서두르지 않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AI교육은 보은, 단양, 영동 등 지역 학생들 진로 진학할 수 있는 교육 생태계 구축과 환경 조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학생들의 안전과 교육발전을 위해 고민하겠다고 답변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Video] Chungbuk Superintendent of Education Yoon Geon-young, '25-year Chungbuk Education Policy Direction Presented

'Reducing the Gap and Promoting Growth for All'

 

Chungcheongbuk-do Superintendent of Education Yoon Geon-young held a press conference at 11 am on the 6th and announced, "The goal of the Chungbuk Education Policy in 2025 is to reduce the gap and achieve growth for all."

 

On this day, Superintendent Yoon emphasized at the press conference, "The task of public education is to ensure that students enjoy fair opportunities and maximize their potential," and "We will reduce the gap in learning, development, and care, and lead the growth of all that students,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achieve together through mutual growth."

 

First, he announced that he will work to resolve the learning gap by strengthening support for basic math skills.

 

The plan is to support AI-filled math personalized learning services for approximately 6,000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rd-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introduce an AI-based math service that analyzes each student's weaknesses and provides customized feedback to reduce the math gap between students and regions.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supports the Fields Math Project (elementary school), Finding the Master in Your Child (middle school 2), and Choi Seok-jeong’s Seoro-ki-eum Project (middle and high school) independently developed as customized math learning intensive programs for each school level.

 

The Math Clinic will expand the professional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counseling classrooms, and expand the Math Filling School, which focuses on experience and exploration, to 50 schools.

 

In addition, it said that it will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lead to changes in classes that students can feel by newly establishing concept-based math class design, customized evaluation feedback training using edutech, etc.

 

In addition, it announced that it will preemptively start a comprehensive survey on dyslexia and borderline function in order to early identify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provide treatment.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reading and learning, but do not receive appropriate learning support.

 

Accordingly, the survey, which will be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to check for dyslexia and borderline intelligence in the third grade, is the fastest among all offices of education to conduct a comprehensive survey whil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100 specialized teachers for early diagnosis of dyslexia and borderline intelligence will be trained, and students with confirmed problems will receive in-depth diagnosis, customized treatment (treatment cost of 1.2 million won per person) and learning coaching from the Chungbuk Learning Comprehensive Clinic Center.

 

In addition, he said that he will expand the Nuelbom service to resolve the care gap.

 

With an investment of 76.3 billion won, the construction of the ‘(tentative name) Chungbuk Nauneulbom Future Hub Center’ in Cheongju, Chungju, and Jecheon will be fully promoted this year,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such as play, rest, classe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resolve the care gap in urban areas, a hub-type Nuelbom space will be created at the former Bokdae Elementary School and the former Sangdang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by 2027.

 

In addition, a plan has been prepared to create a better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by establishing and increasing 45 special classes, and plans to actively support students’ vacations and transition periods to promote customized intensive support for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 order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ll students can grow, the number of schools operating the IB program will be expanded to 18, and an ‘IB Education Regional Cluster’ will be promoted centered on Dongcheongju, Seo-chungju, and Jecheon, whe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B schools are concentrated.

 

The plan i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IB schools in these regions and expand IB classes to general schools to lead the growth of both schools and regions.

 

In order to help with the mental health necessary for student growth, a ‘Student Mental Health 119’ will be established to build a system that can listen to students’ stories anytime, anywhere and provide support within 24 hours.

 

We are also preparing to promote a ‘mindfulness’ movement through meditation and writing at all levels of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new changes, we plan to establish ‘Chungbuk AI Ethics Education Standards’ so that students can correctly underst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AI and develop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addition, we will expand the Chungbuk Education Fair, which was first held last year, to connect events and festivals that share the achievements and growth of Chungbuk education with the Education Fair, and

 

We will strengthen climate crisis respons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moves forward into practice so that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is carried out and Chungbuk-sty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s well established in all schools.

 

Superintendent Yoon said, “In the new year, we will expand the educational ladder to reduce the gap between each student and move toward sustainable Chungbuk education where everyone grows.” He added, “I hope 2025 will be a meaningful year in which we open a new path with deep insight and achieve abundant results.”

 

Following this, Superintendent Yoon Geon-young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the adoption of AI digital textbooks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future plan to promote AI textbooks, saying, “During the last state audit, there were criticisms that the preparation process was insufficient,” and added, “We will review the negative effects of AI and promote it, but we will not rush.” However, he answered that "AI education is also necessary to build an educational ecosystem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in regions such as Boeun, Danyang, and Yeongdong can pursue their career paths," and that he would think about the safety of student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future.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윤건영 충북교육감, '25년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