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충북교육청, 단위 학교별 맞춤 학생창의예술동아리 운영
학교 운영사례공유를 통한 나눔과 소통의 자리 마련
기사입력  2025/04/14 [16:14]   임창용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은 창의예술동아리를 운영하며 단위 학교의 예술활동 운영 여건과 학생들의 예술교육 수요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예술 세부 분야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생들이 단위학교에서 진행하는 가야금, 사물놀이, 연극, 뮤지컬, 난타, 영상, 벽화, 3D디자인, 밴드, 보컬, 도자공예, 취타, 중창 등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필수 운영과제로 지역 예술기관 연계 프로그램(체험) 및 지역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지역연계활동, 공연 및 전시를 통해 성취감과 자아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성과공유활동이 있으며, 사진‧영상 등 학교별 예술동아리 활동 기록 및 운영 노하우를 학교 유튜브나 누리집에 탑재하여 사례를 공유한다. 

 

이에, 충북교육청은 14일 교육문화원에서 충북 도내 창의예술동아리 운영교 50여 개의 담당 교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2025. 학생창의예술동아리 운영 학교 담당자 설명회 및 운영 사례 나눔의 시간을 진행했다.

 

활동 분야별 사례나눔 시간에는 괴산고 공예활동, 은여울중‧고 밴드, 대성여상 샌드아트, 충북예고 영화, 동명초 취타 활동 등을 공유해 내실 있고 창의적인 예술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배상호 창의특수교육과장은 “학생창의예술동아리를 통해 학생의 흥미와 소질을 고려한 1인 1예술 활동 지원으로 학교예술교육의 보편성을 확대하고 격차를 줄이고 모두의 성장으로 나아가는 예술교육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operates customized student creative art clubs for each school

 

Providing a place for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sharing school operation cases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Yoon Geon-young) announced that it operates a creative art club and operates a program that supports customized art sub-fiel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operating art activities at each school and the students’ art education needs.

 

This is a program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gayageum, samulnori, plays, musicals, nanta, videos, murals, 3D design, bands, vocals, pottery, chwita, and duets conducted at each school.

 

As a mandatory operation task, there are local art institution linkage programs (experiences) and local linkage activities utilizing local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and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xpression, and cases are shared by uploading records of school art club activities and operation know-how such as photos and videos to the school YouTube or homepage.

 

Accordingly,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held a briefing session for school managers in charge of operating creative art clubs in Chungbuk Province on the 14th at the Education and Culture Center with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50 creative art clubs in Chungbuk Province.

 

During the case sharing session by activity area, we shared Goesan High School craft activities, Eunyeoul Middle and High School bands, Daeseong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sand art, Chungbuk Arts High School movies, and Dongmyeong Elementary School guitar activities, and had a time to share and communicate ways to plan and operate substantial and creative art activities.

 

Bae Sang-ho, head of the Creative Special Education Division, said, "Through the student creative art club, we hope to expand the universality of school art education, reduce the gap, and become an art education that moves toward growth for all by supporting one-person, one-art activities that consider students' interests and talents."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옥천군, 제23회 옥천묘목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