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 음성군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음성군, 2030 음성시 건설 가시화...행안전부, 행정구역 조정 인구수 산정 기준 개정 건의 ‘수용’
행정구역 조정 인구수 산정 기준, 등록외국인 등 포함키로
외국국적동포 3098명과 등록외국인 1만4015명이 인구수에 반영 전망
기사입력  2025/03/25 [17:28]   김봉수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김봉수 기자=음성군이 2030음성시 건설을 위한 첫 관문을 넘었다.

 

 

군은 지난해 11월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 협의회를 통해 행정안전부에 ‘지방자치법 행정구역 조정 인구수 산정기준 개선’ 건을 적극 건의한 결과 ‘수용’하는 것으로 결정·통보 됐다고 25일 밝혔다.

 

건의 주요 내용은 현행 규정상 행정구역 조정을 위한 인구수 산정 시 ‘주민등록표상 인구’를 반영하는 기준에 외국인 수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외국인은 국내거소신고 외국국적동포와 등록외국인을 말한다.

 

음성군의 등록외국인 수는 매년 연말 기준 △2021년 8361명 △2022년 9751명 △2023년 1만1990명 △2024년 1만3808명으로 매년 1천명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총인구 대비 외국인 주민 비율도 기초지자체 중 최상위권(2023년 기준 기초지자체 중 2위, 2021~2022년 기준 1위)에 해당한다.

 

이는 지속적인 산업단지 조성 및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 증가뿐만 아니라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등의 영향으로 3000여개에 이르는 기업 등의 구인 수요 증가가 외국인의 음성군 유입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군은 일찌감치 2019년 외국인지원팀을 신설했으며, 2020년 도내 최초로 외국인지원센터를 개소해 외국인 주민의 정착과 자립을 지원하는 등 외국인 수 급증에 따른 행정수요에 대응해 왔다.

 

이처럼 음성군 내에서 외국인 주민의 비중과 역할이 확대되고 이에 따른 행정수요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군은 행정구역 조정 시 인구수 산정 기준에 외국인 수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2030 음성시 건설을 위한 주요 전략과제로 삼았다.

 

특히 군은 지난 2년간 국회 및 지방자치법 법률전문가 등을 지속 방문해 건의 및 자문하고 임호선 의원실과 적극 협력해 왔다. 최종적으로 지난해 11월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를 통해 행정안전부에 정책을 건의해 이달 21일 건의사항이 수용되는 성과를 얻었다. 

 

건의 사항 수용에 따른 해당 법령이 개정될 경우, 올해 2월 기준으로 음성군은 외국국적동포 3098명과 등록외국인 1만4015명이 인구수에 반영돼 내국인 9만1383명을 더해 10만8496명으로 1만7000여명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대소면의 경우에는 올해 2월 기준 내국인 1만7469명, 등록외국인 4220명으로 외국인인구수가 인구수 산정에 반영되면 인구 2만 명 이상이 돼 읍 승격을 위한 요건을 갖추게 되면서 2030 음성시 건설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조병옥 군수는 “2024년부터는 내고장 음성愛 주소갖기 운동과 성본산업단지 내 공동주택 입주 시작으로 한동안 감소하던 인구가 증가세로 전환된 와중에 이번 건의사항이 수용됨에 따라 2030 음성시 건설을 향해 한 발자국 더 나아간 것 같다”며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지속적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주택 공급, 정주 여건 개선 사업 등을 통해 시 승격을 위한 기틀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지난해 말 기준 7년 연속 인구감소세에서 벗어나 인구수가 증가세로 전환된 가운데, 성본산업단지 공동주택 입주와 더불어 지방자치법 행정구역 조정 인구수 산정기준 개선의 호재로 올해 인구수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차곡차곡 진행되는 2030 음성시 건설 전망이 더 밝아지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umseong-gun, 2030 Eumseong City construction visualized...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ccepted’ proposal to revise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population for administrative district adjustment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population for administrative district adjustment to include registered foreigners, etc.

3,098 foreign nationals and 14,015 registered foreigners expected to be reflected in the population

 

Eumseong-gun has passed the first hurdle for the construction of Eumseong-gun 2030.

 

The county announced on the 25th that it had decided and notifie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of the ‘improvement of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population for calculating the population for adjust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through the Mayors, County Governors, and District Heads’ Counci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November of last year.

 

The main content of the proposal is to include the number of foreigners in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population for adjust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according to the current regulations, which reflects the ‘population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Here, foreigners refer to foreign nationals who have reported their domestic residence and registered foreigners.

 

The number of registered foreigners in Eumseong-gun is increasing by more than 1,000 people every year as of the end of each year: △8,361 in 2021, △9,751 in 2022, △11,990 in 2023, and △13,808 in 2024. The ratio of foreign residents to the total population is also among the highest among basic local governments (2nd among basic local governments as of 2023, 1st as of 2021-2022).

 

This is likely due to the increase in job demand from about 3,000 companies, etc., not only through the continuous cre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and investment attraction, but also due to the de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which has led to the influx of foreigners to Eumseong-gun.

 

The county established the Foreigner Support Team early in 2019, and opened the first Foreigner Support Center in the province in 2020 to support the settlement and independence of foreign residents, responding to the administrative demand resulting from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As the proportion and role of foreign residents in Eumseong-gun is expanding and the administrative demand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the county has set the inclusion of the number of foreigners in the population calculation criteria when adjus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s a key strategic task for the construction of Eumseong City in 2030.

 

In particular, the county has continuously visited the National Assembly and local autonomy law experts for the past two years to make suggestions and advice, and has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office of Assemblyman Im Ho-seon. Finally, in November of last year, the county submitted a policy proposal to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rough the Korea Mayors, County Governors, and District Heads Association, and the proposal was accepted on the 21st of this month.

 

If the relevant laws are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ance of the suggestions, as of February this year, Eumseong-gun is expected to have 3,098 foreign nationals and 14,015 registered foreigners reflected in the population, adding 91,383 domestic residents to 108,496, a significant increase of 17,000.

 

In addition, in the case of Daeso-myeon, as of February this year, 17,469 domestic residents and 4,220 registered foreign residents are reflected in the population calculation, so the population will exceed 20,000, meeting the requirements for promotion to a township, and it is expected to gain momentum in the construction of Eumseong City in 2030.

 

Governor Cho Byeong-ok said, “Starting in 2024, the population, which had been decreasing for a while,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movement to have a hometown Eumseong Love Address and the start of moving into apartment complexes in the Seongbon Industrial Complex. With this proposal accepted, it seems like we have taken another step toward building the 2030 Eumseong City.” He added, “We will not stop here and will continue to work to lay the foundation for city promotion through continuous quality job creation, housing supply,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Meanwhile, as of the end of last year, the county has overcome the 7-year consecutive population decline and has turned into an increase in population. In addition, with the move into apartment complexes in the Seongbon Industrial Complex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pulation calculation criteria for the adjust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the popul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this year, making the outlook for the 2030 Eumseong City construction project, which is progressing step by step, brighter.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옥천군, 제23회 옥천묘목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