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 청주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청주시의회 송병호 의원, 오창 인근 천안의 대규모 폐기물 매립장 환경대책 촉구
기사입력  2025/03/24 [11:12]   임창용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청주시의회 송병호 의원은 24일 열린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서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과 인접한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동면에서 추진 중인 폐기물 매립장 건설 계획과 관련해서 청주시는 시민의 생명과 건강, 환경권 보호를 위해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송 의원은 천안시 동남구 동면에서 A업체가 추진 중인 초거대 지정폐기물 매립장 건설 계획은 국내 최대 수준으로, 매립장 부지 면적이 38만 6천여 제곱미터(38만6,343㎡), 매립용량은 약 669만 톤(669만1,053㎡)에 달한하며, 4개의 돔형 매립시설이 설치될 예정으로, 매립 면적만 20만 4천여 제곱미터(20만4,923㎡)로 축구장 28배 크기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또한, 주거지역과 불과 300m~600m 거리에 있으며, 매립장 예정지에서 2.5km 떨어진 오창저수지는 인근 6개 면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수원(水源)으로, 2023년에는 환경부의 국가생태문화탐방로 조성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곳이라고 소개했다. 

 

문제는, 초거대 폐기물 매립장에서 침출수가 유출될 경우, 이 물이 오창저수지와 농경지를 심각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고, 지역농산물의 안전성도 보장할 수 없게 되며,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청주시는 이미 2020년부터 대기관리권역으로 지정될 만큼 대기오염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오창읍 후기리에는 이미 3개의 폐기물 매립시설이 있어, 이 지역에 초거대 폐기물 매립장이 추가된다면 대기오염은 물론 수질과 토양 오염의 악화로 환경 정의에도 위배 될 소지가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청주시가 단순히 '천안시만의 문제'라는 소극적이고 방관자적인 태도에서 과감히 벗어나, 청주시민의 생명과 건강, 환경권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함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eongju City Council Member Song Byeong-ho Urges Environmental Measures for Large-Scale Landfill Site in Cheonan Near Ochang

 

Cheongju City Council Member Song Byeong-ho urged Cheongju City to actively take action to protect the lives, health, and environmental rights of its citizens in relation to the landfill construction plan currently underway in Dongmyeon,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adjacent to Ochang-eup, Cheongwon-gu, Cheongju-si, during a 5-minute free speech at the plenary session held on the 24th.

 

Rep. Song said that the construction plan for a large-scale designated waste landfill currently being promoted by Company A in Dongmyeon, Dongnam-gu, Cheonan-si is the largest in Korea, with a landfill area of ​​approximately 386,000 square meters (386,343㎡) and a landfill capacity of approximately 6.69 million tons (6,691,053㎡). Four dome-shaped landfill facilities are scheduled to be installed, and the landfill area alone is approximately 204,000 square meters (204,923㎡), which is equivalent to 28 times the size of a soccer field.

 

In addition, Ochang Reservoir, located just 300 to 600 meters from a residential area and 2.5 km from the proposed landfill site, is a water source that supplies agricultural water to six neighboring counties, and was selected as a target site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National Ecological and Cultural Exploration Trail Development Project in 2023.

 

The problem is that if leachate from the super-large landfill leaks out,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water will seriously contaminate the Ochang Reservoir and farmland, the safety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cannot be guaranteed, and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will continue to be threatened.

 

Assemblyman Song said, "Cheongju City is already in a serious situation where air pollution is so serious that it will be designated as an air management area starting in 2020," and expressed concern that "there are already three landfill facilities in Hugiri, Ochang-eup, so if a super-large landfill is added to this area, it will not only cause air pollution but also worsen water and soil pollution, which will likely violate environmental justice."

 

He continued, "I strongly urge Cheongju City to boldly break away from its passive and bystander attitude that it is simply 'Cheonan City's problem' and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the lives, health, and environmental rights of Cheongju citizens."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옥천군, 제23회 옥천묘목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