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임호선 의원, 해양운송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자율운항선박 미래시대 대비
자율운항시스템 손해배상책임 규정 상법 개정안
기사입력  2025/01/07 [18:55]   임창용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해상운송계약에서 자율운항시스템이나 원격운항자로 인한 손해가 발생한 경우 운송인의 책임을 명확히 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임호선 의원(충북 증평·진천·음성,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사진)은 7일, 해상운송 과정에서 자율운항시스템과 원격운항자로 인해 손해가 발생할 경우 운송인의 책임을 명확히 규정한 「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의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선박의 운항을 자동화하거나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갖춘 선박을 의미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자율운항선박을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준, 선원이 승선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수준, 선원이 승선하지 않고 원격 제어가 가능한 수준, 완전 자율 운항의 네 단계로 분류한다.

 

우리 정부는 2025년까지 3단계, 2030년까지 4단계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제는 자율운항시스템이나 원격운항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가 현재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해상운송계약의 이행보조자는 선원이나 선박사용인으로 한정되어 있어, 자율운항시스템이나 원격 운항자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운송인에게 책임을 묻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번 개정안은 현행법상 운송계약 이행보조자의 범위에 자율운항시스템과 원격운항자를 포함시켜, 이들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운송인의 책임을 명확히하고 자율운항시스템의 자체 결함 등으로 생긴 손해에 대해서는 책임을 면하는 규정을 마련하여 공평한 책임분배를 도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임호선 의원은 “자율운항시스템과 원격운항자는 미래 해상운송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개정안이 운송계약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해상운송 분야의 책임 규정을 명확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 Lim Ho-seon, Representative Proposer of Partial Amendment to the Commercial Act on Marine Transportation

Preparing for the Future Era of Autonomous Ships, including AI and Big Data

Commercial Act Amendment Proposal for Regulations on Liability for Damages from Autonomous Ship Systems

A bill has been proposed to clarify the liability of the carrier in cases where damages occur due to autonomous ship systems or remote operators in maritime transportation contracts.

 

Rep. Lim Ho-seon (Chungcheongbuk-do Jeungpyeong, Jincheon, Eumseong, National Assembly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 Oceans and Fisheries Committee, pictured) proposed a partial amendment bill to the Commercial Act on the 7th to clearly stipulate the liability of the carrier in cases where damages occur due to autonomous ship systems and remote operators during maritime transportation.

 

An autonomous ship refers to a ship equipped with a system that automates or remotely controls the ship’s operation by integrat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and sensor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classifies autonomous ships into four stages: supporting crew decision-making, remote control with crew on board, remote control without crew on board, and fully autonomous operation.

 

Our government is aiming to develop stage 3 by 2025 and stage 4 by 2030. The problem is that responsibility for accidents that occur during autonomous operation systems or remote operation is not clearly defined in terms of the current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Currently, assistants for performance of maritime transport contracts are limited to crew members or ship users, so there is a criticism that there is a limit to holding carriers responsible for damages caused by autonomous operation systems or remote operators.

 

This revision includes autonomous operation systems and remote operators in the scope of assistants for performance of transport contracts under the current law, clarifying the responsibility of carriers for damages caused by them and establishing provisions to exempt them from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defects in the autonomous operation system itself, thereby promoting fair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Rep. Lim Ho-seon sai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s and remote operators will become key elements of future maritime transportation,” and added, “I expect the amendment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fairness of transportation contracts and clarifying responsibility regulations in the maritime transportation sector.”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윤건영 충북교육감, '25년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