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충청권 환경운동 단체, 식수원 오염 청남대 난개발 시도 중단 촉구
김영환 충북도지사 추진 청남대 관광화 개발계획 정면 부정
청남대 지리적・환경적 특성 감안, 힐링과 여가의 공간이 적합
기사입력  2023/03/02 [12:12]   임창용 기자

 

【충북 브레이크뉴스】임창용 기자=충청권 환경운동 단체들은 2일 오전 10시 30분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충북도의 대청댐 규제 완화와 청남대 난개발은 환경파괴 행위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했다.

 

충북과 충남, 세종 등 충청권 소재의 두꺼비친구들,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세종환경운동연합, 생태교육연구소터,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단체들은 김영환 지사가 추진 예정인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대청호 규제완화, 중부내륙연개발전지역 지원특별법 제정 등은 규제완화와 난개발이 우려되는 계획으로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환경파괴 행위라 주장했다.

 

특히, 김영환 지사는 15대 혁신과제를 통해서 100만 명 관광객유치를 위해 물멍쉼터, 수변산책로, 호수광장을 피크닉공원으로 조성, 청남대 주차공간 665면에서 1626면으로 확대계획과 장기과제로 모노레일, 케이블카 설치, 유스호스텔 건립, 전기동력선 운항 계획 등은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환경파괴를 일삼는 행위로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청남대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고, 청남대 개방으로 많은 시민은 이런 자연환경을 만끽하러 현장을 찾고 있다”며, “청남대에는 멸종위기종인 큰고니, 새매, 새호리기, 삵, 수달 등이 서식하고 있다”고 밝히고, 규제 완화와 대규모 난개발계획은 청남대에 서식하는 이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로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뿐만 아니라 상·하류간 주민 갈등 촉발과 충청지역의 400만 주민들의 식수원 오염도 우려했다. 이들은, “충북도는 단순하고 즉흥적으로 접근하는 대규모 개발과 규제 완화 발표에 앞서 충청지역 모든 주민의 동의가 우선되어야 하며, 피해 주민들에 대한 적절한 피해보상 대책과 안정적인 물 관리는 지자체가 가져야 할 기본적인 책무”라고 강조했다. 

 

또한 “청남대는 관광 목적으로 과거처럼 시설물만 설치하기보다 다양한 생태, 문화, 환경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 별장이었던 역사와 가치를 고려한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라며, “대규모시설을 조성하는 관광 개발이 아닌 사람들이 자연을 찾아 힐링하며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더 적합하다”면서, 충청지역 시민들의 쉼터이자 안식공간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nvironmental movement group in Chungcheong region urges to stop attempts at reckless development of Cheongnamdae due to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ource

Young-Hwan Kim, Governor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denies Cheongnamdae Tourism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eongnamdae, a space for healing and leisure is suitable.

-im changyong reporter

 

Environmental activist groups in the Chungcheong region held a press conference at the Chungcheongbuk-do Provincial Office at 10:30 am on the 2nd, and expressed concerns that Chungbuk Province's deregulation of the Daecheong Dam and reckless development of Cheongnamdae would lead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Toad Friends, Daejeon Environmental Movement Federation, Daejeon Chungnam Green Association, Sejong Environmental Movement Federation, Ecolog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 and Cheongju Chungbuk Environmental Movement Federation in Chungcheongbuk-do, Chungcheongnam-do, Sejong, etc. They argued that mitigation and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on support for the central inland development area are plans that are concerned about deregulation and reckless development, and are act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that instigate regional conflict.

 

In particular, Governor Kim Yeong-hwan made 15 innovation tasks to attract 1 million tourists by creating a picnic park for a water shelter, waterside promenade, and lake plaza, expanding the parking space at Cheongnamdae from 665 to 1,626, and long-term tasks such as monorail and cable car. Installation, construction of youth hostels, plans to operate electric power lines, etc. are acts that incite regional conflicts and destroy the environment, and they urged an immediate halt.

 

These organizations said, “Cheongnamdae maintains the natural environment blessed by nature, and with the opening of Cheongnamdae, many citizens are visiting the site to enjoy this natural environment.” Otters are inhabiting it,” and argued that deregulation and large-scale reckless development plans should be stopped as they threaten the lives of those living in Cheongnamdae.

 

In addition, there were concerns about the triggering of conflict between residents upstream and downstream and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ources for 4 million residents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y said, “Before Chungcheongbuk-do announces simple and impromptu large-scale development and deregulation, the consent of all residents in Chungcheong must come first. ”he emphasized.

 

He also said, “Cheongnamdae needs in-depth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value of the presidential villa, considering various ecology, culture, and environment, rather than installing only facilities as in the past for tourism purposes.” He emphasized that it is desirable that it be maintained as a resting place and resting place for citizens of the Chungcheong region.

 

ⓒ 충북 브레이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충북 중부 4개군, AI 바이
많이 본 뉴스
광고
광고